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정의가 침해될 때, 저항하라! 국민저항권이 보장하는 헌법적 힘

     

    이번 대통령 탄핵과 관련하여 집회 현장마다 나왔던 단어 "국민저항권" 이 법이 실제로 헌법에 있는 법일까요? 

     

    국민저항권(또는 저항권)은 헌법 질서가 무너졌을 때, 국민이 민주주의와 권리를 지키기 위해 행사할 수 있는 최후의 수단입니다.

    오늘은 이 권리가 실제로 법에 존재하는지, 그리고 어떤 사례가 있었는지 알아봅니다.


    📌 국민저항권이란?

    국민저항권은 위법한 권력에 국민이 맞설 수 있는 헌법적 권리입니다.

    정당한 질서를 되찾기 위해 국민이 저항할 수 있는 최후의 헌법적 보루로 해석됩니다.


    ⚖️ 헌법에 명시되어 있을까?

    대한민국 헌법에는 저항권이 명문으로는 명시되지 않았지만, 다음 조항들을 근거로 관습헌법상 권리로 인정되고 있습니다.

    • 헌법 제1조 제2항: “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,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.”
    • 헌법 전문: “조국의 민주개혁과 헌법질서 회복 의지”
    • 헌법 제10조: “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진다.”

    📌 헌법재판소 또한 저항권을 헌법정신상 당연한 권리로 간주하고 있습니다.


    📚 역사 속 국민저항권 사례

    ✅ 4·19 혁명 (1960)

    • 이승만 정권의 부정선거와 독재에 대한 시민·학생 저항
    • 정권 붕괴 → 헌정 질서 회복

    ✅ 부마 민주항쟁 (1979)

    • 유신체제에 저항한 부산·마산 지역 시위
    • 박정희 정권 붕괴로 이어짐

    ✅ 5·18 광주민주화운동 (1980)

    • 계엄군 폭력 진압에 시민들이 조직적 저항
    • 오늘날까지도 민주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

    ✅ 6·10 민주항쟁 (1987)

    • 전두환 정권의 호헌 조치에 국민 대항
    • 대통령 직선제 개헌 수용 → 현행 헌법 수립

    🧭 저항권의 행사 조건

    헌법적으로 저항권이 정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합니다.

    조 건 설 명
    1. 중대한 위헌 행위 헌법 질서를 명백히 파괴하는
    권력 작용이 있어야 함
    2. 법적 수단의 소진 재판, 행정절차 등
    모든 합법적 방법이 무의미할 때
    3. 최소한의 수단 폭력보다 비폭력,
    최소한의 방법이 우선
    4. 목적의 정당성 헌법 회복 및
    국민 권리 수호 목적

     

    📌 즉, 저항은 무조건 정당화되지 않으며, 절차적 정당성과 목적의 순수성이 요구됩니다.


    ✅ 오늘날 저항권의 의미

    현대 사회에서도 저항권은 여전히 유효한 의미를 가집니다.

    • 국정농단, 공권력 남용 등 위법한 권력 감시
    • 기득권 해체와 불평등 구조에 대한 문제 제기
    • 기본권 침해 시 시민 불복종 운동의 정당성 판단 기준

    정치가 신뢰를 잃고, 제도가 작동하지 않을 때 헌법이 보장하는 국민의 마지막 카드가 바로 저항권입니다.


    📎 참고 자료

    • 대한민국 헌법
    • 헌법재판소 2001헌가9 결정문
    • 국가기록원 민주화운동 연표
    • 김철수, 『헌법학개론』

    📝 마무리

    저항권은 단순한 시위의 정당화 수단이 아닙니다. 그것은 국민이 직접 헌정질서를 지킬 수 있도록 헌법이 보장한 권리입니다.
    민주주의는 지켜야 할 가치이며, 저항은 그 마지막 보루입니다.

     

    정의가 무너졌을 때, 국민의 이름으로 저항할 권리가 존재합니다.

    반응형